은퇴·고령자에게 DLF(파생결합펀드)·라임·디스커버리 등 고위험 금융 상품을 판매하는 은행들이 있어 비판이 나오고 있다.

16일 조선일보는 은행이 고위험 금융 상품을 안전하다고 광고해 투자자에게 손실을 입히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서울의 한 요양원에 거주하는 90대 여성 장모 씨에게 은행 PB가 접근해 고위험 금융상품인 DLF에 5억원어치를 가입시키고, 금융 상품 40여개 등 총 20억원어치를 유치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그뿐 아니라 장씨에게는 전혀 필요가 없는 주택청약까지 들게 한 사실이 알려졌다.

해당 PB는 장모 씨가 남편과 사별하고 자식도 없는 강남에 고가 아파트를 가진 자산가라는 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결국 장씨가 투자한 DLF는 이후 원금 손실이 크게 났다.

또한 65세 차모 씨는 정기예금에 들고 싶었지만 은행 직원이 “1억원 이상 예치가 필요한데 DLF로 하시라”며, “미국 금리가 40% 이상 떨어지지만 않으면 예정 수익률을 주는 상품”이라고 설득해 DLF에 가입했다. 이후 차씨는 은행원 조차 상품에 대해 자세히 모르고 자신에게 투자를 권했음을 알게됐고, 결국 원금을 절반 가까이 날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듯 최근 은행들이 금융 지식이 부족한 노령층을 대상으로 상품 판매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금감원에 따르면 작년 10월 DLF에 투자한 개인 3천여 명 중 60대 이상이 1400명 이상, 70대 이상 비율도 21%나 된다”고 지적했다.

은행이 안전하다고 믿는 투자자들에게 ‘원금 손실 0%’ 등 보장되지 않은 안전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현혹한 은행들에 강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은행들의 고위험 펀드 판매를 정부가 나서 제약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금융위는 지난해 12월 고위험 금융 상품에 관한 대책을 마련하고 은행들이 원금 대비 20% 초과 손실이 가능한 고위험 파생 상품을 팔지 못하게 조치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시사경제스케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